‘문제집은 일단 무조건 많이 푸는 게 좋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많이 풀어 그 감(感)을 온몸에 배게 한다는 전략은 학력고사식 전략이다.
제아무리 많은 문제를 기계적으로 풀어도 ‘처음 보는’ 문제가 출제되는 것이 수능·논술·특목고 시험이다.
‘왜 그렇게 풀리느냐’에 집중하는 공부를 해야 한다.
그래서 감이 아닌 ‘문제를 보는 눈’을 기르도록 지도해야 한다.
Data가 증명한다.
서울대 3,121명이 서울대에 가기 위해 고3학년들이 1년 동안 푼 수학 문제집은 10~20권이 아니었다.
놀랍게도 평균 ‘2.8권’뿐이었다.
다만 그들은 그 2.8권을 2~4번까지 반복해서 풀었다.
양적인 공부의 시대는 끝났다.
느려도 좋다.
문제 수가 적어도 좋다.
‘질(質)’만 높을 수 있다면.
'똑똑한 아이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개월을 갓 넘은 아이가 100일된 아기와 노는 방식 (0) | 2009.02.24 |
---|---|
원리를 깨우치는 학습법 (0) | 2009.01.22 |
똑똑한 아이의 기준 - 과거엔 기억력, 지금은 응용력 (0) | 2009.01.22 |
암기를 탈피하여 이해하는 학습법으로 유도하라 (0) | 2009.01.22 |
태아보험 선정 - 현대해상 + 동양생명 패키지 (0) | 2008.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