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은평뉴타운을 지나 북한산 가는 길에 흥국사라는 사찰이 있습니다.

이곳에 어린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있어서 주말마다 저희 집 식구들은 이곳을 찾고는 합니다.

겨울이 끝나가는 시점에 찾아서 그런지… 이곳은 싸늘하기만 한 것 같습니다.

북한산 온천 옆 흥국사 - 등산객들이 온천과 더불어 자주 찾는 코스

간간히 들려오는 목탁소리가 이곳이 사찰임을 다시 금 느끼게 해주는 것 같은데요.

이 사찰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다 보면 이곳이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임을 알게 되는데요, 그 역사 또한 대단합니다.

북한산 온천 옆 흥국사 - 등산객들이 온천과 더불어 자주 찾는 코스

신라 문무왕 원년인 661년에 북한산에 수행하다가 약사여래를 만난 곳에 흥성암이라는 절을 지은 것이 흥국사의 시초라고 합니다.

원효는 본전에 약사여래가 봉안하면서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난 곳이라 많은 성인 배출이 될 것이라는 뜻에서 흥성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북한산 온천 옆 흥국사 - 등산객들이 온천과 더불어 자주 찾는 코스 

이후 오랫동안 사찰의 연혁이 전해지지 않다가 조선 숙종 12년인 1686년에 중창하면서 다시 부흥하기 시작했다. 특히 영조가 생모인 숙빈 최씨의 묘인 소녕원에 다녀오던 길에 이 절에 들렀다가, 직접 지은 시를 편액으로 만들어 내리고 숙빈 최씨의 원찰로 삼으면서 영조와 정조 대에 크게 발전했다고합니다.

결정적으로 흥국사라는 이름은 영조가 하룻밤 머문 후 절 이름은 흥국사로 개칭되었으며, 절이 자리잡은 산도 원래 이름인 노고산에서 한미산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북한산 온천 옆 흥국사 - 등산객들이 온천과 더불어 자주 찾는 코스

위에서 설명했습니다만 이곳은 북한산성 입구 쪽에 위치해 있고, 한미산이 군사보호구역으로 출입이 통제되어 사람의 손길이 많이 닿지 않았다고 합니다.

본전인 약사전 안에는 약사여래상과 정조 16년에 제작된 약사후불탱화가 있는데, 칠성각과 극락구품도는 경기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 가운데 극락구품도는 전체 그림을 아홉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극락을 묘사한 그림이라고 하니... 다시 가서 감상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장수왕은 고구려 20대 왕이며 향년 98세(394년~491년)까지 생존하였습니다.

본명은 거련(巨連) 또는 연(璉)이라고 하였고 중국의 진(晉)나라·송(宋)나라·위(魏)나라 등과 국교정상화를 이루었으며 북아시아 여러 세력들과도 다각적인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서방(西方)의 안정을 꾀하였다. 이러한 외교관계를 기반으로 왕권강화 및 중앙집권체제를 이룩하였습니다.

연대별 업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408년 태자로 책봉

414년 자신의 아버지인 담덕(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광개토대왕릉비를 세움

427년 만주 지방의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하여 적극적인 남하정책을 추진함

475년 스스로 군사를 이끌고 백제의 수도 한성을 공격하여 개로왕을 죽여 옛날 고국원왕의 원한을 갚음.

480년 말갈의 군사와 함께 신라 북부를 공략하여 고명성 등 7성을 함락시켜
         남으로는 아산만에서 동쪽의 죽령에 이르렀고,
         북서쪽으로는 랴오허강 이동의 만주지방 대부분을 차지하여, 한국 역사상 최대의 제국을 건설함

광개토대왕 장수왕 2대에 걸친 정복사업으로 영토는 점점 확장되어 남쪽은 아산만에서 죽령에 이르고, 서북쪽은 요하에서 만주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큰 나라를 건설하여 전성기를 이루었습니다.

재위 79년, 나이 98세로 고구려에서 가장 장수한 왕중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장수왕의 업적 요약
1.도읍지를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김
2.남하정책으로 한강유역까지 영토를 넓힘

한반도를 호령했던 고구려 19대 태왕 광개토대왕의 연대별 업적을 살펴보도록 합시다. 

374년 탄생, 이름은 담덕
386년 고구려의 태자로 책봉됨
391년 고구려 제19대 태왕이 됨, 고구려 최초로 연호(영락)를 제정하여 사용하고,
      백제의 10개의 성을 빼앗고 관미성도 함락됨
392년 백제 북쪽 10개의 성(황해도지역)을 함락시키고 고구려 북쪽 거란을 정복함
393년 평양에 9개의 사찰을 건립, 진무가 이끄는 백제1만대군을 막아냄.
394년 고구려 남쪽의 수곡성이 위기에 쳐했으나, 정예기병을 보내 막아냄
396년 수륙 양쪽으로 군사를 동원하여 백제의성 58개를 함락시키고 한강유역을 차지함
398년 숙신을 정복하고 신라를 굴복시킴. 이 때부터 신라가 고구려에 조공을 바침.
399년 백제와 왜 연합군이 신라를 친입. 이에 따라 신라가 고구려에 구원을 요청.
400년 신라의 요청으로 왜와 백제를 격파    
        고구려군이 남쪽에 있는동안 침략해온 북쪽의 후연군에 반격을 하여
        고구려의 신성과 남소성을 다시 회복함.
404년 남쪽국경에 침입한 백제,왜 연합군을 격퇴함.
405년 요동성을 공격한 후연의 모용희 군대를 격퇴.
406년 목저성을 공격한 후연의 모용희 군대를 격퇴.
407년 후연이 망하고 북연이 등장하자 북연을 고구려에 굴복시킴.
      백제를 다시 공격하여 6개의 성을 함락시킴.
410년 동부여와 연해주를 공격하여 64개의 성을 획득함.
412년 39세의 나이로 사망.

삼국사기는 고려 때 김부식 외 사람들이 지은 역사서로서, 고구려와 백제 신라를 다룬 역사서입니다.

김부식은 신라 김씨의 자손으로, 신라를 위주로 서술하였습니다.


삼국사기를 보면 신라가 건국된 시기가 제일 앞서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고고학적으로나 혹은 중국의 사서를 볼 때 고구려, 백제가 건국시기가 앞설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것은 김부식이 신라를 중요시하여 왜곡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삼국사기는 기전체로 된 역사서입니다.
기전체는 본기, 세가, 열전, 연표, 등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기전체는 원래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서 본기는 황제국의 역사, 세가는 제후국의 역사, 열전은 왕들 외의 인물들의 전기라고도 합니다.
조선 때의 고려사를 편찬한 것을 보면, 고려는 제후국이라 해서 세가에 집어넣습니다.
하지만 삼국사기는 그보다는 주체적인 인식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를 본기로 썼습니다.

삼국사기는 김부식이 편찬한 책으로 신라 계승의식을 반영하고 유교사관에 입각하여 쓴 역사책입니다.

기전체 형식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고조선 및 삼한의 비기록, 삼국사(신라중심) 내용입니다.

삼국유사는 일연이 저술한 책으로 불교사를 중심으로 고대의 민간 설화나 전래 기록을 수록하여 고유문화와 전통을 중시하여 저술하였으며 단군을 우리 민족의 시조로 여겨 단군의 건국 이야기를 수록하였습니다.

기사본말체 형식으로 단군부터 고려말 충렬왕 때까지 기록하였으며 신라 관계 기록이 다수 수록되어 있습니다.

두 책의 공통점으로는 쓰여진 시점이 고려시대라는 것이 같습니다. 자세하게는 삼국사기는 고려중기, 삼국유사는 고려말기입니다..

계백장군은 당시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했는데, 군사 5,000명을 이끌고 출전하여 황산벌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네 차례나 격파한 일화로 유명합니다. 일찍이 사로(仕路)에 나가 벼슬이 달솔(達率:제2품)에 이렀다고 합니다.

당시 신라가 한강 유역을 강점함으로써 그때까지의 나제동맹(羅濟同盟)이 결렬되자 백제는 고구려 ·일본 등과 친교를 맺고 신라에 대항하게 되는데 고립상태에 빠진 신라는 당(唐)나라와 동맹을 맺고 원병을 요청하게 됩니다. 이때 당나라 고종(高宗)은 소정방(蘇定方)을 신구도 대총관(神丘道大摠管)으로 임명하여 군사와 함께 바다를 건너 신라를 돕게 하여, 이른바 나당 연합군의 5만 병력이 백제를 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때 백제 의자왕은 사치와 연악(宴樂)에 파묻혀 충신들의 훌륭한 작전계획도 물리치다가, 사태가 위급해지자 계백을 장군으로 삼아 적을 막도록 하였다고 합니다. 계백은 죽기를 각오한 군사 5,000명을 이끌고 출전하면서, 이미 나라를 보전하기 어렵다는 것을 직감하고 ‘살아서 적의 노비(奴婢)가 됨은 차라리 죽음만 같지 못하다’하여 자기의 처자를 모두 죽여 비장한 결의를 보였습니다. 황산(黃山)벌에 이르러 세 진영을 설치하고 군사들에게 맹세하기를 “옛날에 구천(句踐)은 5,000명의 군사로써 오(吳)나라 70만 대군을 쳐부쉈으니 오늘날 마땅히 각자가 있는 힘을 다하여 최후의 결판을 내자”하고, 신라의 김유신(金庾信)이 이끄는 5만의 군사를 맞아 네 차례나 그들을 격파하였습니다.

이에 신라군이 사기를 잃고 있을 즈음, 신라의 장군 품일(品日)은 16세의 어린 아들 관창(官昌)으로 하여금 나가 싸우게 하니, 관창은 백제군과 싸우다가 생포되었다. 계백은 어린 나이로 용전한 관창을 가상히 여겨 살려보냈으나, 관창은 재차 나와 싸우다가 또 붙잡혔습니다. 계백은 신라에 이같이 용감한 소년이 있으니 싸움은 이미 승부가 난 것이라 예감하였습니다. 그는 관창의 목을 잘라 그의 말 안장에 묶어 신라군 진영으로 돌려보냈는데 예상했던 대로 신라군은 관창의 죽음으로 사기가 올라 총공격을 감행하였고 계백은 전사하였습니다.

화랑도의 기본정신은 세속오계입니다.

 

세속오계는 신라 진평왕 때 승려 원광(圓光)이 화랑에게 일러 준 다섯 가지 계율을 의미합니다.
이 세속오계에는 사군이충(事君以忠)·사친이효(事親以孝)·교우이신(交友以信)·임전무퇴(臨戰無退)·살생유택(殺生有擇)이 있습니다

사군이충 - 임금을 충성으로써 섬김.
사친이효 -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
교우이신 - 벗과 벗 사이엔 믿음이 있어야 함.
임전무퇴 - 싸움에선 절대 물러나지 아니함.
살생유택 - 함부로 살생을 하지 아니함.

《삼국유사》에는 ‘무리를 뽑아서 그들에게 효제(孝悌)와 충신을 가르쳐 나라를 다스리는데 대요(大要)를 삼는다’라고 했습니다. 《삼국사기》에는 ‘처음에 군신(君臣)이 인재를 알지 못함을 유감으로 여기어 사람들을 끼리끼리 모으고 떼지어 놀게 하여, 그 행실을 보아 거용(擧用)하려 하였다’ 하고, 이들은 ‘서로 도의를 닦고, 서로 가악(歌樂)으로 즐겁게 하며, 명산과 대천(大川)을 찾아 멀리 가보지 아니한 곳이 없으며, 이로 인하여 그들 중에 나쁘고, 나쁘지 아니한 것을 알게 되어, 그 중의 착한 자를 가리어 조정에 추천하게 되었다’고 그 설치목적과 수양과정을 적고 있습니다.

이로써 화랑도의 설치는 인물을 양성하여 그 가운데 인재를 가려서 국가에 등용함을 목적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소기(所期)의 성과에 대해 《삼국사기》는 ‘현좌(賢佐:賢相)와 충신이 이로부터 솟아나고, 양장(良將)과 용졸(勇卒)이 이로 말미암아 나왔다’고 합니다. 그 설치연대에 대해서 《삼국사기》에는 576년(진흥왕 37)이라 하였으나, 562년에 이미 화랑 사다함(斯多含)이 대야성(大耶城:高靈)을 공격하여 큰 공을 세웠다는 기록이 있음으로 보아 신라는 이때에 이르러 이전부터 있었던 미비된 상태의 청소년 집단이던 화랑도를 국가조직 속에 편입시켜 무사단의 성격으로 강화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선유동 가는 길은 쉽게 열려 있습니다. 화개동천을 따라 깊숙이 들어가다 보면 계곡이 둘로 나뉘는 신흥마을에서 오른편 물줄기를 따라 잘 포장된 도로를 조금만 가다 보면 어귀가 나옵니다. 신흥마을에서 2km 남짓 가서 국립공원 관리공단 간이 매표소를 지나면 오른쪽으로 선유동 계곡 안내판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안내판을 따라 그대로 오르면 됩니다.


화개면 신흥리 마을은 두 갈래의 냇물이 흘러내리는 어우름에 있습니다. 왼편은 칠불사쪽에서 흘러나오는 냇물이며 오른쪽은 의신쪽에서 흘러 내리는 냇물입니다.

흐르는 물은 유리알처럼 맑아 잔잔한 흐름을 이루고 계곡마다 바위를 휘돌아 흐릅니다.

주변에는 기암 괴석이 울창한 수림과 어울려 아기자기한 풍치가 선경을 이룹니다.

의신 쪽에서 흐르는 냇물을 따라 마을 건너편에 절벽을 이루고 있는데 이 절벽엔 『세이암』이란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신라말 고운 최치원이 세속의 비속한 말을 들은 귀를 씻고 신선이 되어 지리산으로 입산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 귀를 씻었다는 곳이 바로 세이암이며 최치원이 목욕을 하는데 게가 최치원의 발가락을 물었습니다. 최치원은 이를 고약하게 여겨 그 게를 잡아 멀리 던지며 다시는 여기서 다른 사람을 물지 말라고 했다 하는데 그 이후 이 근처엔 바위가 많아 게가 서식하는데 적지인데도 게가 없다고 합니다.

위치 : 경남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 | 문의 : 055-880-6051

신라 제27대 왕, 우리 역사상 최초의 여왕. 성 김(金), 휘(諱) 덕만(德曼), 호 성조황고(聖祖皇姑). 시호는 선덕이다.  신라 제27대 선덕여왕은 신라뿐 아니라 기록에 나타난 우리 역사상 최초의 여왕이었다.  선덕여왕의 이름은 덕만(德曼)인데, 덕만은 불교식 이름으로 『열반경』에 등장하는 오계를 갖춘 재가 여신도이며 부처의 열반을 지켜보았다는 인물이다. 아버지는 제26대 진평왕(재위 579∼632)이고 어머니는 복승갈문왕의 딸 마야부인(摩耶夫人) 김씨이다. 남편은 음갈문왕(飮葛文王)이며 자매로는 진지왕의 아들 용춘과 혼인하여 김춘추를 낳은 천명부인이 있다. 또한 ‘서동요’설화에서는 백제로 가서 무왕의 비가 되었다고 하는 선화공주가 진평왕의 셋째딸이라 하여 선덕여왕의 자매로 그려져 있다.

<삼국유사> 기록을 믿기 어려운 점은 또 있다. 즉, 진평왕의 딸이 세 명으로 정사 기록대로 첫째 딸이 선덕여왕이고, <삼국유사> 말대로 셋째가 백제 무왕에게 시집갔다면 둘째 딸이 선덕여왕 다음 왕으로 즉위해야하나, 그 어떠한 말도 없다는 점이다. 선덕여왕 다음으로 왕이 되는 승만은 진평왕의 둘째 딸이 아니라 덕만(선덕여왕)과 4촌이라는 점이다. 고로 선화공주가 진평왕 셋째 딸이라는 근거는 <삼국유사>의 기이편(奇異編) 설화 말고는 그 어디에도 없다.
지금까지 우리 역사상 여왕은 신라 제27대 선덕여왕(632~647)외에 두 명이 있었다. 제28대 진덕여왕(647~654), 그리고 통일 신라 말기에 해당하는 제51대 진성여왕(887~897)이다. 이 세 여왕은 모두 신라의 여왕이다. 고구려, 백제와는 다른 신라의 정치, 사회적 특징은 유일하게 신라에서만 여왕의 존재를 낳게 한다. 먼저, 그 이유가 바로 신라사회에서만 존재했었던 골품제의 영향이다. 원래 신라의 왕위는 부모 양쪽이 모두 성골이어야만 하는 극소수의 성골들에게만 허락된 자리였다. 이러한 까다로운 조건으로 성골의 숫자는 점점 줄어들어 7세기에 들어서면 왕위계승 자격을 가진 성골은 진평왕의 딸 덕만(후일 선덕여왕)과 조카딸 승만(후일 진덕여왕)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왕위에 오를 수 있는 성골남자가 없다는 것은 성골시대의 종말을 의미했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이 발행했다는 최영장군 우표  (0) 2009.06.01
선덕여왕에 대한 기록  (0) 2009.05.27
선덕여왕이 미리 알아낸 세가지 일화  (0) 2009.05.27
프랑스 혁명의 의의  (0) 2008.11.12
프랑스 혁명의 결과  (0) 2008.11.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