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인프라에 해당되는 글 4건
글
세계는 지금 100M를 넘어 1G 시대로 Jump 하려고 준비 중 - 초고속 인터넷 시대 글로벌화 멀지 않아
우리나라는 인터넷 속도가 세계 최고라고 알고 있습니다.
적어도 미국은 우리나라와 인프라 수준이 비교가 안되…라고 생각하고 계신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그러나 미국이 초고속 인터넷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데요. CNet에 따르면 FCC는 2015년까지 모든 주에 1Gbps급 초고속 광대역 인터넷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구체적인 내역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FCC는 2015년까지 전국 50개주 마다 최소 1 지역에서 기가비트 수준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Gigabit City Challenge"를 추진할 것이라고 합니다. 이에 통신사, 서비스 제공업체, 주정부기관에 각 주마다 최소한 하나의 생활권 이상에 기가비트 인터넷을 공급할 것을 요청하였는데요, 차세대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기가비트 속도의 인터넷이 가능해야 사용자들이 더 나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기대 이상의 새로운 발명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됩니다. 참고로 현재 Kansas city를 포함한 14개의 주 42개의 생활권이 초고속 광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며 이들 도시들의 모범사례를 공유하고 정보를 공유해 협업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의 스마트폰 (0) | 2013.02.23 |
---|---|
올해 노트북의 트렌드는 가볍고 배터리가 7시간 이상 지속되며 터치스크린이 지원되는 것 (0) | 2013.02.10 |
세계 평판 TV 시장 업체별 점유율 (2011 1분기-2012 3분기) (0) | 2013.01.03 |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의 특징 - 분석, 패턴도출, 모델링, 데이터 생성, 리포팅 (0) | 2012.07.10 |
IT 거버넌스(Goverenance)란 (0) | 2012.05.07 |
글
Microsoft Case Study - Samsung Smart TV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법을 이용하여 글로벌한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어 - 삼성전자 강춘운 수석
제 이름이 나오는 몇 안되는 매체 중의 하나이므로 이 내용의 일부를 발췌하여 본 블로그에 포스트 해 봅니다.
삼성전자는 2008년 클라우드를 자사 서비스에 접목하기 시작해 2011년 Windows Azure를 활용하기까지 자사 서비스 인프라를 빠르게 진보된 환경으로 발전시켜 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멀티 벤더 체제란 큰 틀을 유지하는 가운데 IaaS, PaaS를 고르게 지원하는 Windows Azure의 사용을 늘려 자사의 핵심 인력들이 유지보수가 아니라 고객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의 품질 제고라는 보다 중요한 일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통상 보안때문에 외부 매체와의 인터뷰는 일체 하고 있지 않지만, 위의 경우는 회사 보안팀/인사팀과의 협의를 거쳐 올라간 내용입니다.
Reference
http://www.microsoft.com/korea/customerevidence/evidence_view.aspx?idx=262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의 특징 - 분석, 패턴도출, 모델링, 데이터 생성, 리포팅 (0) | 2012.07.10 |
---|---|
IT 거버넌스(Goverenance)란 (0) | 2012.05.07 |
삼성 스마트 TV 2012년 제품 사진 (Samsung Smart TV for year 2012) (0) | 2012.02.10 |
넘쳐나는 빅데이타(Big Data)를 잘 수집하여 분석하여 패턴을 알아내면 암도 정복하고 세상을 바꿀 수 있다 (0) | 2012.02.04 |
빅데이터(Big Data)가 세상을 바꾼다 -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아낼 때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무언가를 할 수 있다 (0) | 2012.02.04 |
글
KT-소프트뱅크의 클라우드 동맹 – 김해에 서버 10,000대 규모 데이터센터 건립
KT와 소프트뱅크가 통큰 클라우드 동맹을 하겠다고 합니다.
2011년 5월 31일자 중앙일보에는 이와 관련된 기사가 사진과 함께 떴습니다. 총 비용은 약 700억원 규모이며 소프트뱅크(손정의)와 KT(이석채)가 합자회사를 설립하여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로서 KT는 기간망 사업자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체제로의 전환을 선언하는 것이 아닐까 예측해 봅니다.
특히 주목할만한 점은 소프트뱅크가 데스크톱 가상화(Desktop Virtualization)를 본격적으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며, KT는 이에 대한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최근 시트릭스 CEO 마크 템플턴이 주장한것처럼 데스크톱 가상화가 가시화 되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이렇게 되면 향후 IT 인프라의 중심은 클라우드가 장악을 하게 될 것이고, 이를 사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씬클라이언트(Thin Client)형태로 존재하여 디바이스의 가격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
클라우드 사용량 측정 (Cloud Usage Metering)에 대한 심층 탐구
VMWare와 XenServer 각각에 대해 어떤 솔루션이 있는지 점검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VMWare vCloud Usage Meter는 VM의 리소스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 하고, 측정하고 리포팅하는 툴입니다.
Citrix사의 XenServer의 경우는 Nimsoft Monitoring Solution을 이용하면 다양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수집되는 정보를 테이블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는 클라우드 인프라 조직 통합을 통하여 본격 KT와 경쟁 할것 (0) | 2011.05.25 |
---|---|
클라우드에서의 핵심 기술 분산 스토리지는 성능 확보가 관건 (0) | 2011.05.19 |
Citrix Xen Server와 VMWare ESX 비교 (0) | 2011.04.25 |
클라우드에서 말하는 SMS와 DMI, Altiris (0) | 2011.04.20 |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가상화 도구 VMWare ESX (0) | 2011.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