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는 문자 그대로 위태스러운 패스… 즉, 영향도가 높은 패스를 의미하는데요, 프로젝트에서 리스크(Risk)를 가지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다른말로 중요 업무, 주요 업무 등으로 표현 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를 잘 관리하는 것입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MS Project를 이용한 크리티컬 패스 관리 기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타스크(Task)가 있다고 합시다.

여기서 어떤 일(Task)가 중요한 일인지… 파악을 하고자 한다면 어찌하겠습니까? 이를 MS Project에 입력을 하면 아래와 같은 간트챠트(Gantt Chart)가 나옵니다.

이때 어떤 일이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인지 알 수 있다면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을 것입니다. MS Project에서 이에 대한 설정은 진행 상황 간트(Gantt)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셨다면 간트 챠트가 아래와 같이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는 빨간색으로 표기된 선이 해당됩니다. 빨간선은 업무가 타이트하게 배치된 것이고 파란선은 널널하게 배치된 선입니다. 즉, 설계, 구현, 테스트 타스크(Task)가 가장 여유가 있고 운영준비가 가장 문제가 많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른 표현으로는 일이 너무 없어서 여유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파란색으로 나오는 타스크(Task)의 인력은 남는 기간 동안 놀게 되는 것이죠.

여기서 운영 인력 확보 와 운영 계약 법무팀 검토를 동시에 수행(병렬처리)하는 것으로 내용을 수정하면 크리티컬 패스가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즉, 리소스가 아까보다는 좀더 효율적으로 배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앞에 작업보다 일정도 단축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죠? 위의 스케쥴 중 운영 계약 법무팀 검토도 조정한다면 일정을 더 단축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한번 시도해보세요.

과제 일정을 체크하다 보면 타스크(Task)가 너무 많아 어디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눈으로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제일 많이 사용하는 툴이 Microsoft Project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프로젝트 추진시 전체 Task를 파악할 수 있고, 과제 추진 일정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 파악이 가능하고 또한 이를 위해 리스크에 대한 사전 대응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MS Project를 써서 계획을 세우는 가장 큰 이유는 어떤 업무가 가장 Risk가 큰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 주요합니다. 그런데, 타스크가 많으면 내용 파악이 매우 어려워지죠. 그래서 저는 아래와 같이 신호등을 사용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원래 추진 일정과 현재의 날짜를 비교하는 수식을 비교하여 상황에 따라 신호등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사용자 정의 필드라는 것을 이용하면 구현이 가능한데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1) 열 삽입

열을 먼저 삽입하시되 여기서 타입은 [번호1]을 선택하십시오. 참고로 [번호2]를 선택하셔도 무방합니다.

 

2) 사용자 정의 필드 설정

사용자 정의 필드가 열리면 아래와 같이 수식을 편집해 줍니다.

혹시 Copy & Paste를 하시길 우너하는 분이 계실것 같아 수식을 아래와 같이 넣어봅니다.

IIf([완료율]=100,4,IIf(([예정된 완료 날짜]-Date())<0,0,IIf(([예정된 완료 날짜]-Date())<7,1,IIf(([예정된 시작 날짜]-Date())>30,3,2))))

그리고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는 그래픽 표시기 설정을 아래와 같이 해주십시오.

어떻습니까? 이제 진척 내용 파악을 위해 간트차트를 일일히 보지 않아도 되죠?

많은 책들을 읽어보면 늘 성공하는 사람들은 인생의 목표를 세우고 추진하는 순서로 진행이 됩니다.

이때 그들은 대부분 어느 시점에 자기가 무엇을 성취할지를 상상합니다. 이를 영어로 스케줄링이라고 합니다.

스케줄링, 즉 계획을 세우는 순서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현재를 기점으로 순차적으로 계산해 목표달성 시기를 추정하는 순행 스케줄링과 최종 목표 달성 시간, 즉 미래를 기준점으로 역산해서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을 선택하는 역산 스케줄링이 있습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목표가 생기면 먼저 최종 달성 시한을 정합니다. 그러고 나서 현재 지점까지 전체 거리를 파악하고 역으로 계산해 지금 당장 처리해야 할 과제를 만들어냅니다. 운동선수들이 시합일정에 맞추어 훈련하는 것처럼 항상 미래의 시점에서 현재를 판단합니다.

 

반면 실패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열심히 하다 보면 어떻게 되겠지” 하며 매일 매일 손에 잡히는 대로 일을 합니다. 그래서 긴급한 일이 생기면 곧바로 옆길로 샌다. 하지만 목표달성을 기준으로 현재 상황을 역방향으로 바라보면 유혹을 쉽게 뿌리칠 수 있고, 목표와 무관한 일들을 쉽게 물리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스트레스도 줄어들게 됩니다.

일본의 경영 컨설턴트 간다 마사노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99%의 사람들은 현재를 보면서 미래가 어떻게 될지를 예측하고, 1%의 사람만이 미래를 내다보며 지금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생각한다. 당연히 후자에 속하는 1%의 사람만이 성공한다.” 그러므로 성공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미래로부터 역산해서 현재의 행동을 선택하는 습관을 갖는다면 말입니다.

SCM 추진 방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Operation Strategy : Brand/ Market / Channel의 Operation 전략

2) Supply Chain Planning : Integrated Supply Chain Planning 및 최적화

3) Supply Chain Execution : Integrated Sales & Distribution

GC-AP2-AP1이 입력한 Forecast가 Planning으로 반영될 때에

3개의 forecast 값이 다를 경우에

어느 주체에 맞추어 우선 할당할지 정하기 위하여

Buffer Logic과 Pre Allocation 정책을 사용한다.

이는 실제로는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나, FedEx의 Tandem Computer에는 존재하는 재고를 의미한다.

FedEx는 자사의 Tandem Computer (고객기업 재고관리용 서버) 에 약 70여 개 Supplier들의 재고 현황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다.

 

가상재고의 도입을 통해 가능해진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재고 관리 서버를 두어 고객 기업의 재고현황과 위치, 중앙 허브까지 걸리는 시간 등 파악

2) 고객 기업의 중앙컴퓨터와 연결하여 소비자의 Invoice도 직접 받음

3) 고객 기업의 소비자 서비스를 돕기 위해 재고 현황 등도 고객 기업의 서버로 보냄.

SCM 운영 프로세스는 다음의 4단계로 운영이 된다.

 

1) 수요관리 (Demand Plan)

2) 자원운영 (Master Plan)

3) 생산계획 (Factory Plan)

4) 납기약속 (Demand Fullfillment)

 

이를 수요-공급을 연계하는 프로세스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Demand –> 선적량 지시(SOP)-> 가용자원점검 –> 판매가능량 확정(RTF)

 

여기서 RTF(판매가능량) = 법인보유재고(On-hand) + 이동중재고(In-Transit) + 공장선적계획(SOP)

월마트(Wal-Mart)가 POS 시스템 구축을 위해 도입한 방법은 총 4가지이다. 이는 많은 파급효과를 일으켰다.

 

1) 바코드/슬롯 스캐너 도입

- 업무처리량은 많으나 속도가 느린 바코드에서 처리량은 적지만 업무처리 속도가 빠른 바코드 도입

- 바코드가 표준으로 채택된 이후, 종전보다 30%가량 가격계산 시간을 단축함

 

2) 즉각적 배송 시스템(Cross Docking)

- 모든 점포의 판매대, 물류센터, 공급자간 지속적인 실시간 접촉
  (배달된 상품을 수령하는 즉시 중간 저장 단계가 거의 없거나 없이 배송지점으로 배송 할 수 있다)

- 대량 구매하는 경우 통상 발생하는 재고 및 취급비용을 절감

- 취급 상품의 85% 배송센터를 거쳐 유통, 업계 평균보다 2-3% 낮은 원가 유지

- Every Day Low Price 유지의 근본이 됨

 

3) VMI (공급자 주도형 재고관리)

- 매장의 POS 정보를 EDI 시스템을 통해 제조자 측으로 전송, 매장 재고 보충

- 채찍효과에 의한 정보왜곡현상 제거

- 수요예측과 판매, 생산계획의 조정 가능

 

4) QR (신속 반응 물류)

- 계절상품의 취급에 있어서 획기적인 개선을 가능하게 함

'방법론 >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dEx의 가상재고(Virtual No Inventory)의 개념  (0) 2009.07.22
SCM 운영 프로세스  (0) 2009.07.22
APS의 정의 및 Scope  (0) 2009.07.22
7대 SCM 프로세스 세부내용  (0) 2009.07.22
Cross-Docking이란 무엇인가?  (0) 2009.07.22

APS(Advanced Planning System)는 ERP 시스템을 기반으로 최적화기법을 이용해 정확한 계획(미래에 대한 Visibility)을 수립하여 경영자가 신속하게 의사결정(Decision Velocity)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즉 수요예측을 고려하여 Global하게 Operation을 하고 있는 각 제조공장 및 창고의 물량에 대한 운영계획을 통합하여 작성하는 시스템이다.

또 APS의 구축으로 Supply Chain 전반에 제조/판매 각각 운영되던 다양한 계획을 단일화된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권한은 분산시키면서도 부문관 Real tim으로 통합 계획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 신속하게 최적의 계획을 작성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와ㅏ 조직 Planning Engine을 갖추게 하는 장점도 있다.

 

APS의 Scope는 총 7개이며,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다.

1) 수요관리 Demand Planning

2) 수요처리 Demand Fullfillment (납기약속)

3) 자원운영 계획 Master Planning

4) 생산계획 Factory Planning

5) 통합 Database

6) 통합 Interface 구축

7) 통합 사용자 화면 User Interface

SCM 7대 프로세스는 부문별 특성 및 업무영역에 따라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추진 된다.

 

개발 –> 구매 –> 제조 –> 물류 –> 마케팅 –> 판매 –> 서비스

창고나 물류센터에서 수령한 상품을 창고에서 재고로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즉시 배송할 준비 를 하는 물류시스템을 의미한다.


크로스도킹의 두 가지 유형

- 기포장 크로스도킹

- 중간처리 크로스도킹

 

크로스도킹의 목적

1) 재고 비용 감소 효과

2) 물류센터에서 유동성 증대 효과

3) 상품활동 데이터에 대한 엑세스 개선.


크로스도킹의 가장 큰 장점은 배달된 상품을 수령하는 즉시 중간 저장 단계가 거의 없거나 없이 배송지점으로 배송 할 수 있다는 것이다.

SCM에서 말하는 VMI ( Vendor Management Inventory )는 공급자 관리 창고를 의미한다.

즉, VMI 는 재고 관리의 주체에 대한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재고는 해당하는 재고를 사용하는 고객에 의해 관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해당 품목을 사용하는 고객이 그 품목에 대해 ID 를 부여하고, 저장위치를 지정하며, 관련 비용을 추정하여 1회 주문량을 설정할 때 반영한다.

또 해당 품목의 수요에 대해 예측이 필요할 경우, 적절한 예측기법을 이용하여 예측을 실시하며, 때에 따라 안전재고를 설정하기도 합니다.

이 모든 활동이 일반적으로 해당 품목을 사용하는 고객이 담당하는데, 만약 공급자와 장기적인 협약 및 계약을 맺은 상태에서 공급자가 고객의 편의를 목적으로 그 기능 중 일부를 담당 할 수 도 있습니다.


다시말해서 VMI 란 , 공급자가 고객에 공급하는 품목에 대해 조달 수량 및 시점을 관리하여 고객을 편리하게 할 경우, 해당 재고에 대해 붙여진 이름이다.

이 경우 고객은 공급자에 의해 조달되는 품목에 대한 사용 현황만 알려주면 됩니다.


* 정의

1) 공급사슬의 운영효율을 높이기 위한 strategic alliance  방법,

2) vendor 가 하위단계 retailer 인 수요 정보와 재고 정보를 공유,

3) retailer 의 재고수준을 관리하는 방법

 

* 목적

핵심 고객을 공급망 계획에 포함시켜 고객의 요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는 것.

VMI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객의 재고현황과 판매 예측 정보를 시스템에 통합시켜야 한다.

POS란 Point Of Sales(판매시점관리)를 의미한다. 판매시점관리라는 것은 물건이 판매된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매출이나 재고 등의 관리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POS시스템이란 이것을 시스템화한 것을 의미하고 오늘날 슈퍼마켓이나 대형마트들이 채택하고 있는 시스템이기도 하다.

또 오늘날 POS시스템은 SCM(Supply Chain Management)의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기도 한데, 그 시초는 월마트(Wal Mart)이다.

미국 최대의 유통업체인 베스트바이(BESTBUY)에도 포스시스템은 설치가 되어져 있다.

포스시스템을 통해 어떤 물품이 잘 나가고 어떤 물품이 재고가 많이 남고 또 어떤 시간대에 제품이 잘 나가는지 등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트랜드 파악도 가능하다.

이에 따른 장점은 매장의 크기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방법론 >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ss-Docking이란 무엇인가?  (0) 2009.07.22
VMI (Vendor Management Inventory)란?  (0) 2009.07.22
SCM의 기대효과  (0) 2009.07.13
SCM구축을 위한 7가지전략  (0) 2009.07.13
SCM Planning 프로세스의 4가지 구성요소  (0) 2009.07.13

1. 재고감소

1) SCM은 supply chain 전체를 보고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

2) 전체 공급망에 상품이 필요한 수준으로 물 흐르듯 하는 흐름개념으로 파악하고 관리

3) 각 업체들이 공급망내의 자사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결된 공급망의 일부분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물품을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곳에 공급함으로써 재고 감소

 

2. 주가가치없는 작업 제거

1)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업무처리에서는 업무처리에 필요한 절차와 정보형식을 미리 약속하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자동적으로 진행

2) 업무절차의 간소화, 업무 처리시간 및 업무 비용 감소

① Service Needs에 근거한 고객 세분화와  Segment별 수익성 있는 서비스 개발

② 세분화된 고객요구에 대응하는 최적의 물류N/W 구축

③ 고객 실수요에 기초한 최적의 Demand Planning 수립

④ 고객위치에 근접한 제품 Customization 실시를 통한 SC 재고절감 및 L/T 단축

⑤ 전략적 Source업체 관리를 통한 SC상의 비용 절감

⑥ Supply Chain-wide Technology 전략 개발

⑦ Supply Chain 공동의 성과측정에 필요한 Measure의 적용

1) Demand Planning

- 모든 계획의 시작, Supply Chain 구성 요소중 제일 중요

 

2) Master Planning

- SCM의 핵심, 최적화된 자원 운영 계획 수립

 

3) Factory Planning & Scheduling

- Master Planning 계획에 따라 행하는 생산부문의 계획

 

4) Demand Fullfillment

- 실행프로세스

'방법론 >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M의 기대효과  (0) 2009.07.13
SCM구축을 위한 7가지전략  (0) 2009.07.13
SCM 시스템의 구성요소  (0) 2009.07.13
SCM과 EC와의 관계  (0) 2009.07.13
SCM과 ERP와의 관계  (0) 2009.07.13

1) SCP(Supply Chain Planning)

- 의사결정과 계획입안 업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 수요계획(Demand Planning), 행사계획(Event Planning), 재고계획(Inventory Planning), 자동재고보충계획(Replenishment Planning), 생산계획(Manufacturing Planning)  등이 있음.


2) SCE(Supply Chain Execution)

- 주문처리나 물류관리를 지원 하는 소프트웨어ASN(Advanced Shipment Notice)

- Cross Docking System을 지원하는 주문처리시스템(AOM : Advanced Ordering Management)

- 창고관리시스템(WMS : Warehouse Management System) 

- 차량관리시스템(TMS :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방법론 >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M구축을 위한 7가지전략  (0) 2009.07.13
SCM Planning 프로세스의 4가지 구성요소  (0) 2009.07.13
SCM과 EC와의 관계  (0) 2009.07.13
SCM과 ERP와의 관계  (0) 2009.07.13
SCM을 위한 기반기술  (0) 2009.07.13

■ SCM과 연계되어야 하는 요소기술

1) ERP System : 기업 내부의 업무 표준화와 통합

2) Intenet-based EC : 고객, 공급자 등과의 전자 거래와 정보교환 

3) Data Warehousing & Data Mining : 수집된 고객 및 거래 데이터를 분석하고 의사결정을 지원


■ SCM과 EC

1) SCM, CALS, EC 간의 경계가 모호해진 상태

2) 종래의 EC는 전자쇼핑몰 등의 소비자와의 거래( Business to Customer )에 중점 

3) SCM은 기업간의 전자거래( Business to Business )에 중점

'방법론 >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M Planning 프로세스의 4가지 구성요소  (0) 2009.07.13
SCM 시스템의 구성요소  (0) 2009.07.13
SCM과 ERP와의 관계  (0) 2009.07.13
SCM을 위한 기반기술  (0) 2009.07.13
관점에 따른 SCM의 3가지 측면  (0) 2009.07.13

□ ERP 시스템 : 기업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재구축하고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 절감을 위하여 기업(enterprise) 내의 각종 자원(resource)들을 계획(planning)하고 통제(scheduling)하는 시스템

□ SCM 시스템 : ERP를 통하여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정비되고 생산성이 향상된 기반을 토대로 고객과 자재 공급업체, 그리고 물류창고의 기업과 기업, 부서와 부서간에 발생하는 유통과정을 관리하는 시스템

□ SCM과 ERP는 상호 보완의 관계 : 유기적인 통합이 필요
기업들은 개별기업과 다양한 공급업체와 소비자집단을 하나의 가상기업(Virtual Enterprise)으로 보고 새로운 프로세스 매핑작업과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고 그 마스터 플랜하에 ERP와 SCM을 구축하여야 한다

1) 물류관리를 위한 정보기술

  • 전자상거래(EC)환경
  • 전자 문서 교환(EDI)
  • 전자메일/전자게시판(E-mail/BBS)
  • 전자카탈로그(Electronic Catalog)
  • 전자대금결제(Electronic Payment)
  • 서류없는거래(Invoiceless Trading)
  • 사전 선적통보(Advanced Shipping Notice)

 

2) 공급자 주도 재고관리

□ QR(Quick Response) : 소매업자와 공급자가 긴밀히 협력하여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 맞게 상품 공급주기를 개선하는 것
AR(Automatic Replenishment, Profile Replenishment) : QR이나 CR은 판매실적에 따른 상품의 보충이지만, AR에서는 공급자가 좀 더 적극적으로 그들이 가진 상품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장래의 수요 예측에도 참여하는 것

□ CR(Continuous Replenishment), VIM(Vendor Managed Inventory) :QR이 발전되고 개선된 개념으로 구매자로부터 공급 주문이 없이도 공급자가 소매업자의 재고를 계속적으로 보충하여 줄 수 있도록 공급망에 유연성과 효율성을 주는 것

 

3) 중앙집중관리: 일괄구매/일괄배송

중앙 물류센터 : 모든 주문과 상품을 중앙물류센터에서 관리하여 물량을 최대화하여 경제 규모를 만들고, 또한 고객의 주문 요구에 맞춰 구색/소분/포장 등의 작업을 일관성 있게 수행하고 배송함
Cross Docking  : 대량의 여러 상품이 물류센타에 도착하면 보관하지 않고 바로 각 매장이나 고객의 주문에 맞게 소량으로 나누어 해당 매장이나 고객에게 배달하는 상품 이동의 중개기지

'방법론 >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M과 EC와의 관계  (0) 2009.07.13
SCM과 ERP와의 관계  (0) 2009.07.13
관점에 따른 SCM의 3가지 측면  (0) 2009.07.13
SCM(Supply Chain Management )의 등장배경 및 필요성  (0) 2009.07.13
SCM의 이론과 실제  (0) 2009.07.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