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백장군은 당시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했는데, 군사 5,000명을 이끌고 출전하여 황산벌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네 차례나 격파한 일화로 유명합니다. 일찍이 사로(仕路)에 나가 벼슬이 달솔(達率:제2품)에 이렀다고 합니다.

당시 신라가 한강 유역을 강점함으로써 그때까지의 나제동맹(羅濟同盟)이 결렬되자 백제는 고구려 ·일본 등과 친교를 맺고 신라에 대항하게 되는데 고립상태에 빠진 신라는 당(唐)나라와 동맹을 맺고 원병을 요청하게 됩니다. 이때 당나라 고종(高宗)은 소정방(蘇定方)을 신구도 대총관(神丘道大摠管)으로 임명하여 군사와 함께 바다를 건너 신라를 돕게 하여, 이른바 나당 연합군의 5만 병력이 백제를 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때 백제 의자왕은 사치와 연악(宴樂)에 파묻혀 충신들의 훌륭한 작전계획도 물리치다가, 사태가 위급해지자 계백을 장군으로 삼아 적을 막도록 하였다고 합니다. 계백은 죽기를 각오한 군사 5,000명을 이끌고 출전하면서, 이미 나라를 보전하기 어렵다는 것을 직감하고 ‘살아서 적의 노비(奴婢)가 됨은 차라리 죽음만 같지 못하다’하여 자기의 처자를 모두 죽여 비장한 결의를 보였습니다. 황산(黃山)벌에 이르러 세 진영을 설치하고 군사들에게 맹세하기를 “옛날에 구천(句踐)은 5,000명의 군사로써 오(吳)나라 70만 대군을 쳐부쉈으니 오늘날 마땅히 각자가 있는 힘을 다하여 최후의 결판을 내자”하고, 신라의 김유신(金庾信)이 이끄는 5만의 군사를 맞아 네 차례나 그들을 격파하였습니다.

이에 신라군이 사기를 잃고 있을 즈음, 신라의 장군 품일(品日)은 16세의 어린 아들 관창(官昌)으로 하여금 나가 싸우게 하니, 관창은 백제군과 싸우다가 생포되었다. 계백은 어린 나이로 용전한 관창을 가상히 여겨 살려보냈으나, 관창은 재차 나와 싸우다가 또 붙잡혔습니다. 계백은 신라에 이같이 용감한 소년이 있으니 싸움은 이미 승부가 난 것이라 예감하였습니다. 그는 관창의 목을 잘라 그의 말 안장에 묶어 신라군 진영으로 돌려보냈는데 예상했던 대로 신라군은 관창의 죽음으로 사기가 올라 총공격을 감행하였고 계백은 전사하였습니다.

화랑도의 기본정신은 세속오계입니다.

 

세속오계는 신라 진평왕 때 승려 원광(圓光)이 화랑에게 일러 준 다섯 가지 계율을 의미합니다.
이 세속오계에는 사군이충(事君以忠)·사친이효(事親以孝)·교우이신(交友以信)·임전무퇴(臨戰無退)·살생유택(殺生有擇)이 있습니다

사군이충 - 임금을 충성으로써 섬김.
사친이효 -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
교우이신 - 벗과 벗 사이엔 믿음이 있어야 함.
임전무퇴 - 싸움에선 절대 물러나지 아니함.
살생유택 - 함부로 살생을 하지 아니함.

《삼국유사》에는 ‘무리를 뽑아서 그들에게 효제(孝悌)와 충신을 가르쳐 나라를 다스리는데 대요(大要)를 삼는다’라고 했습니다. 《삼국사기》에는 ‘처음에 군신(君臣)이 인재를 알지 못함을 유감으로 여기어 사람들을 끼리끼리 모으고 떼지어 놀게 하여, 그 행실을 보아 거용(擧用)하려 하였다’ 하고, 이들은 ‘서로 도의를 닦고, 서로 가악(歌樂)으로 즐겁게 하며, 명산과 대천(大川)을 찾아 멀리 가보지 아니한 곳이 없으며, 이로 인하여 그들 중에 나쁘고, 나쁘지 아니한 것을 알게 되어, 그 중의 착한 자를 가리어 조정에 추천하게 되었다’고 그 설치목적과 수양과정을 적고 있습니다.

이로써 화랑도의 설치는 인물을 양성하여 그 가운데 인재를 가려서 국가에 등용함을 목적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소기(所期)의 성과에 대해 《삼국사기》는 ‘현좌(賢佐:賢相)와 충신이 이로부터 솟아나고, 양장(良將)과 용졸(勇卒)이 이로 말미암아 나왔다’고 합니다. 그 설치연대에 대해서 《삼국사기》에는 576년(진흥왕 37)이라 하였으나, 562년에 이미 화랑 사다함(斯多含)이 대야성(大耶城:高靈)을 공격하여 큰 공을 세웠다는 기록이 있음으로 보아 신라는 이때에 이르러 이전부터 있었던 미비된 상태의 청소년 집단이던 화랑도를 국가조직 속에 편입시켜 무사단의 성격으로 강화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신라의 김유신은 5만의 부대를 이끌고 백제와 마지막 전투 황산벌에서 만납니다.

그러나 계백은 가족까지 죽이는 비장한 각오로 나왔기에 5천밖에 안되는 백제군이었지만...

만만한 상대는 아니었습니다..

이에 김유신은 4번싸워 4번모두 지게 됩니다.. 이렇게 우왕좌왕하고 있을때 당나라 소정방부대와 만나기로 한날이 하루밖에 남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에 김품일이라는 장군은 아들 관창에게 지금이 부모에게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 할 수 있는 2가지를 모두 할수 있으니 어찌 맞서 싸우지 않겠느냐 며 돌려하자... 관창은 죽음을 무릅쓰고 적진으로 들어가 계백에서 잡히고 맙니다..

그러나 계백은 관창이 어린나이임을 알고 살려보내줬으나 관창은 세속오계에서처럼 임전무퇴를 외치며 다시 적진으로 들어가 사로잡힙니다...

이에 계백은 관창을 칭찬하며 아깝지만 목을 베어 말에 목을 달아 적진으로 보냅니다..

이에 관창의 용기에 감탄한 신라군들이 목숨을 걸고 적진을 뚫고 들어가 싸움을 승리로 이끕니다.

image

여기에서 주목할것은 단지 화랑이었던 관창의 죽음이 얼마나 대단한 것이었는지 하는 것입니다..

프랑스와 영국의 백년전쟁에서 잔다르크가 장군이었고 힘이 세어서 요술을 부려서 프랑스를 승리로 이끌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두려움에 떨고 있던 프랑스인들에게 여자가 목숨을 아깝게 생각하지 않고 싸우는 것을 보고 용기를 북돋울 수 있었을 것입니다..

image

관창의 죽음 또한 어린 화랑도 목숨을 바쳐 싸우는데 자기 몸을 사리던 신라군들에게 부끄러움을 느끼게 하여 싸움에 승리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한마디로 관창의 능력보다 관창의 용기가 싸움에서 가장 중요한 힘을 주었던 것입니다....

계백이 가족을 죽이면서 나와 5천 결사대로 5만을 맞설 수 있었듯이...

관창의 죽음 또한 한명의 죽음이상의 큰 힘을 보여주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